서울시는 시민의르 위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쾌적한 서울의 미래환경을 제시하고,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도시 조성을 위한 서울시의 환경목표와 비전 제시하고 시민의 이해를 돕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서울시는 서울시 전역 및 서울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지역에 대한 2016~2025년(10년간)
진행된 자연환경, 토양 · 지하수, 대기, 소음 · 진동, 수질, 상 · 하수도, 폐기물, 유해화학물질, 에너지, 환경정책 등에 대하여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서울시 기후환경정책과의 계획으로 주요 내용으로는 "시민최우선 생활환경 구현"하기 위한 " 대기환경 분야에서 시민이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는 공기품질시대를 선도하고,
상하수도 보급·관리 및 수질환경보전을 통한 시민이 행복을 누리는 물환경 복지 도시 만든다.
토양·지하수의 효율적인 관리로 건강한 토지자원의 보전과 유지 한다.
또한, 찾아가는 체감형 환경서비스 구축하기 위한 대책으로 실내공기질 향상으로 건강 100세 시대를 앞당기는 안전한 실내공기질 관리하고, 유해화학물질 및 악취관리로 안락한 생활환경 조성하며, 소음·진동을 관리하여 사전 예방적 소음 진동 관리를 통해 예방한다.
회복력 높은 생태자원 확대여 자연생태계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하고, 공원녹지를 마련하여 시민과 함께하는 녹색도시 만들기에 노력한다.
재활용 분야에서는 저비용·고효율 자원 순환체계 구축하여, 폐기물 : 매립제로형 자체자원화를 기반으로 자원 순환률을 높이고, 도시 물순환을 통해 물이 순환하는 쾌적한 도시로 만들고, 에너지 자립형 도시를 계획하여 시민이 에너지를 생산하고 효율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 자립도시를 구축한다.
시민참여형 민관주도 환경거버넌스 구축하여,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 토대의 환경거버넌스 구현하고, 환경-경제분야의 시민이 공감하는 친환경 경제도시를 만들어 환경과 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다층적 환경거버넌스 활성화를 도모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