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개혁신당 이기인사무총장 페이스북
정권 핵심부와 밀접한 인물로 알려진 김현지 관련 내부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정국이 심각한 혼란에 빠지고 있다. 해당 녹취록에는 “500억짜리 선거”, “펀드 300억”, “사무총장이 직접 챙겨야 한다” 등의 구체적 발언이 담겨 있어, 단순한 선거운동 자금 수준을 넘어선 대규모 자금 동원 정황으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발언자들은 실제로 “통장을 만들었다”, “OTP카드까지 간다”, “6천만 원 따위 이야기하지 마라”는 등의 표현을 사용하며 자금 조성과 운용을 논의했다. 자금 규모와 구체성이 매우 이례적이어서,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가능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선생님’이라는 호칭과 해석 불가능한 암호성 대목이다. 과거 일심회 간첩단 사건 등에서 북한 공작 조직이 내부적으로 ‘선생’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번 사안이 간첩 연계설로까지 번지고 있다. 정보·법조계 일각에서는 “일반적인 선거 자금 논의와는 구조가 다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 안보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정치 스캔들이 아닌 국가 기밀 및 안보 리스크와 직결된 사안으로 보고 있다. 한 전직 정보기관 간부는 “만약 실제 간첩 연계 가능성이 확인된다면 이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보다 훨씬 중대한 사건이 될 수 있다”며 “조직적 자금 조성과 안보 침투가 동시에 의심되는 정황”이라고 경고했다.
야권은 특검과 국정조사 도입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한 야당 의원은 “국가 안보와 선거의 공정성을 근본적으로 흔드는 초유의 사안”이라며 “대통령 측근과 연루된 정황이 드러난 이상, 수사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여당 측은 “확인되지 않은 내용에 기반한 정치 공세”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여론은 이미 들끓고 있다.
법조계에선 “녹취록만으로 범죄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금액·표현·구조만으로도 수사 개시 사유는 충분하다”며 “정치자금법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여부를 동시에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수사기관은 녹취록 원본의 진위, 자금 출처, 암호성 대목에 대한 포렌식 분석 및 계좌 추적에 착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김현지 게이트, 김현지 국정농단"으로 특검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민주당은 국정감사에서 출석하면, 기자와 국회의원 질의가 집중되면서 의혹이 대중적으로 확대될 수 있고, 정치권에서는 의혹을 잠정적으로 봉합하거나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출석을 자제할 수 있다 는 분석이다.